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일리노이 재산세 전국서 가장 높다

전국적으로 재산세가 가장 높은 도시 5곳 가운데 무려 4곳이 일리노이 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업체 '애톰'(Attom)은 2024 재산세를 기반으로 미 전역 217개 도시의 재산세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미국 내 총 8570만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했는데 지난 2024년 미국 전체로는 총 3575억 달러의 재산세가 걷힌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2024년 미국 전체의 평균 재산세는 0.87%였는데 일리노이 북부 락포드는 2.06%로 미국에서 재산세가 가장 높은 도시로 조사됐다.     락포드를 비롯 시카고(1.91%), 시카고 남 서버브 피오리아(1.89%), 일리노이 중부 샴페인-어바나(1.88%)가 재산세가 높은 상위 4개 도시로 나타났다. 일리노이 주 외 도시로는 뉴저지 트렌튼이 1.88%로 재산세가 높은 도시 탑5에 포함됐다.     100만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대도시만을 기준으로 삼으면 시카고가 가장 높았다.     이어 코네티컷 하트포드(1.71%), 오하이오 클리블랜드(1.65%), 오하이오 콜럼버스(1.45%), 그리고 펜실베이니아 피츠버그(1.42%)가 재산세 상위 5곳을 차지했다.     주 단위로는 일리노이 주가 평균 1.87%로 재산세가 가장 높은 것으로 기록됐다. 이어 뉴저지(1.59%), 코네티컷(1.48%), 네브라스카(1.32%), 오하이오(1.31%), 아이오와(1.24%), 뉴햄프셔(1.23%), 캔자스(1.22%), 버몬트(1.22%), 펜실베이니아(1.16%) 등 중서부와 둥부 주들이 재산세가 높은 탑10을 형성했다.     반면 하와이는 0.33% 재산세로 가장 낮았고 아이다호•애리조나•앨라바마(0.41%), 그리고 델라웨어(0.43%)가 재산세 부담이 적은 주로 조사됐다.     Kevin Rho 기자일리노이 재산세 일리노이 재산세 재산세 상위 평균 재산세

2025-04-29

뉴저지 70여 타운 재산세 줄었다

미국 전체에서 주택소유자들의 재산세 부담이 가장 큰 뉴저지주에서도 일부 타운은 재산세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뉴저지주 재무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주 전역의 561개 타운(또는 시)의 평균 재산세를 조사한 결과 9490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미국 50개주 가운데 재산세 부담이 높은 주 랭킹에서 2위를 차지한 커네티컷주의 평균 재산세가 6153달러라는 것을 감안할 때 압도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뉴저지주 전체 타운 중에서 71개는 2021년과 비교해 2022년에는 재산세 부담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재산세가 감소한 타운들 중에는 주민수가 수백 명 또는 수천 명 정도의 작은 타운들이 상당수였는데, 재산세가 감소한 것은 ▶타운 정부 운영 ▶공원 관리 등 시설 유지 ▶주민 대상 프로그램 운영 ▶상·하수도와 쓰레기 처리 ▶도로 유지와 보수 ▶업무 차량 운용과 기자재 관리 등 각종 행정 비용이 줄어들거나, 세금수입 또는 자산매각 등으로 수익이 느는 등 다양한 원인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재산세가 가장 많이 줄어든 타운은 버겐카운티 라클리와 에지워터가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는데, 라클리는 2022년 평균재산세 1만1513달러로 전년비 9.84%나 줄었고, 에지워터는 9929달러로 전년비 7.99%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노스버겐(평균재산세 7625달러·감소율 5.45%) ▶밀스톤보로(7111달러·5.38%) ▶비니갯라이트(6755·5.08%)가 3위부터 5위에 랭크됐다.   재산세를 가장 많이 내는 타운은 ▶태비스탁(평균 2만9796달러) ▶밀번(2만4623달러) ▶데마레스트(2만2636달러) ▶테너플라이(2만2411달러) ▶럼슨(2만2093달러) 타운 순이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재산세 뉴저지 평균재산세 1만1513달러 평균 재산세 재산세 부담

2023-06-28

뉴저지주 한인타운 재산세 부담 더 늘었다

뉴저지주에서 한인들이 많이 살고 있는 타운들의 재산세가 평균 이상으로 올라 계속해서 부담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공개된 뉴저지주 500여개 타운별 재산세 변동 내역에 따르면 뉴저지주 전체로는 2020년에서 2021년 사이 1년 동안 주택소유주들이 내는 재산세는 평균 1.9%가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증가폭은 지난 수년 사이의 인상폭과 비교할 때 다소 줄어든 것이지만 평균 재산세는 9300달러에 달해 전국에서 최고 수준임이 확인됐다.   특히 한인들이 많이 사는 버겐카운티 타운들 대부분은 뉴저지주의 평균 재산세를 훌쩍 넘을 뿐 아니라 일부 타운은 큰 폭으로 뛰어 주민들의 부담이 크게 늘게 됐다.   최근 수년 사이 허드슨강변 리버로드를 중심으로 부동산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에지워터의 경우 2020년에 9264달러이던 평균 재산세가 2021년에는 1만791달러로 무려 16.6%가 뛰었다. 또 대규모 쇼핑몰과 사업체가 많아 주택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산세 부담이 적은 것으로 평가되던 파라무스는 2020년 9983달러에서 2021년에는 1만589달러로 6.1%가 인상됐다.   이에 비해 대표적인 한인타운들인 ▶팰리세이즈파크(팰팍)는 1년 사이 1만3달러에서 1만153달러로 1.5% ▶포트리는 1만1301달러에서 1만1478달러로 1.6% ▶리지필드는 9929달러에서 1만181달러로 2.5% ▶레오니아는 1만3495달러에서 1만4011달러로 3.8%가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또 버겐카운티 북부에 있는 알파인은 2021년에 평균 재산세 2만1438달러를 기록해 전년(2만1042달러) 대비 1.9%가 올랐고, 역시 재산세 부담이 높은 타운 중 하나인 테너플라이는 2020년 2만1552달러에서 2021년에는 2만1966달러로 1.9%가 올랐다.     한편 뉴저지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재산세가 올라 모기지를 연체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택소유주들을 위해 모기지·재산세·기타 주택비용을 지원하는 긴급모기지구제프로그램을 시행한다.   필 머피 주지사는 24일 “연방정부가 제공한 미국구제플랜 기금 중 3억2500만 달러를 배정해 모기지를 제대로 납부하지 못해 압류 위기에 처한 주택소유주에게 최대 3만5000달러까지를 지급하는 프로그램을 오는 2월 8일부터 시작하겠다”고 발표했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뉴저지주 한인타운 뉴저지주 한인타운 타운별 재산세 평균 재산세

2022-01-2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